산후 우울증
출산 직후 급격한 호르몬 변화와 출산의 고통, 육아에 대한 부담감으로 누구나 우울감, 불안감을 경험할 수 있고 대부분 자연 호전됩니다.
하지만 심한 우울감이 오랫동안 지속되고 부적절한 죄책감이 들거나 살고 싶지 않다는 생각이 든다면 반드시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대표 증상 1
죄책감
아이에 대해 기쁘고 좋은 마음이
들지 않고 아이에게 죄책감을 느낍니다.
들지 않고 아이에게 죄책감을 느낍니다.
대표 증상 2
심한 감정변화
감정기복이 심하고 눈물이 자주 나고
살고 싶지가 않습니다.
살고 싶지가 않습니다.
대표 증상 3
육아에 대한 불안감
아이를 잘 기를 자신이 없고
막막하고 불안하게만 느껴집니다.
막막하고 불안하게만 느껴집니다.
산후 우울증은 산모와 아이 모두를 위해 적극적으로 치료되어야 합니다.
약물 치료와 비약물치료를 모두 고려하여 치료방향을 상의합니다.
가족면담을 통해 지지적인 가정환경을 조성하도록 돕습니다.
생리 전 증후군
월경 전에 시작되어 월경 시작 후 호전되는 우울, 불안, 과민성 등의 여러 증상을 의미합니다.
증상이 심한 경우 사회생활 또는 대인관계에 지장을 줄 수 있으니 전문가와의 상담을 통해 증상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증상이 심한 경우 사회생활 또는 대인관계에 지장을 줄 수 있으니 전문가와의 상담을 통해 증상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대표 증상 1
식욕 변화
식욕이 증가하고 단 음식,
매운 음식 등 특정 음식이 먹고 싶고
살이 찌기도 합니다.
매운 음식 등 특정 음식이 먹고 싶고
살이 찌기도 합니다.
대표 증상 2
피로, 신체증상
생리 전에 유독 피곤하고 두통,
요통, 근육통 등의 통증이 있습니다.
요통, 근육통 등의 통증이 있습니다.
대표 증상 3
감정 변화
생리 전에 우울, 불안이 심해지거나
짜증이 나고 예민해집니다.
짜증이 나고 예민해집니다.
특정 증상이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정도면 약물 치료를 통해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생리 전 감정변화에 대한 상담치료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식이조절, 금주, 운동 등 생활습관 교정이 필요합니다.
갱년기 증후군
질병 또는 노화에 의해 난소기능이 감소하면서 폐경과 관련된 호르몬 변화에 따라
신체적 및 심리적 변화를 겪는 시기로 폐경 전기와 후기 모두를 포괄하여 증상이 나타납니다.
신체적 및 심리적 변화를 겪는 시기로 폐경 전기와 후기 모두를 포괄하여 증상이 나타납니다.
대표 증상 1
감정 변화
잦은 감정의 변화로 우울감을
느끼고 사소한 것에 짜증이 납니다.
느끼고 사소한 것에 짜증이 납니다.
대표 증상 2
수면 장애
잠들기가 어렵고 잠에 들어도 쉽게
깹니다. 기상시간이 일러지기도 합니다.
깹니다. 기상시간이 일러지기도 합니다.
대표 증상 3
신체증상
더위가 이전보다 쉽게 느껴지고
얼굴에 홍조가 자주 나타나게 됩니다.
얼굴에 홍조가 자주 나타나게 됩니다.
위와 같은 증상으로 인한 고통감이 크다면, 불안감과 공포감을 줄여주는 약물치료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
안정화 기법, 이완요법, 인지행동요법을 통해 도움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자가보고검사, 정량화 뇌파검사, 스트레스검사를 통해 나의 불안 수준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육아 스트레스
아이를 잘 키워야 한다는 중압감, 육아로 인한 신체적 및 정신적 소진,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지 못하는 환경 등이 우울감, 불안감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지 못하는 환경 등이 우울감, 불안감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대표 증상 1
우울하고 과민한 기분
사소한 일에도 서운함을 느끼거나
눈물이 많아집니다. 짜증이 잦아지고
아이나 배우자에게 화를 낼 수 있습니다.
눈물이 많아집니다. 짜증이 잦아지고
아이나 배우자에게 화를 낼 수 있습니다.
대표 증상 2
죄책감, 자책감
주변 사람들에게 짜증이나 부정적인
감정을 표출하고 나면 뒤늦게
죄책감을 느끼게 되고 스스로를
부정적으로 생각하게 됩니다.
감정을 표출하고 나면 뒤늦게
죄책감을 느끼게 되고 스스로를
부정적으로 생각하게 됩니다.
대표 증상 3
무기력감, 의욕의 저하
좋아하던 일들도 싫어지고 흥미를
잃게 됩니다. 충분히 잠을 자더라도
여전히 피곤하고 시간이 지나도 피로가
회복되지 않습니다.
잃게 됩니다. 충분히 잠을 자더라도
여전히 피곤하고 시간이 지나도 피로가
회복되지 않습니다.
전문가와의 면담을 통해 부모도 육아를 하면서 힘들 수 있다는 사실을 인정하고 감정을 솔직하게 표현해야 합니다.
스트레스로 인한 증상의 정도가 주의가 필요한 우울감이라면 약물 치료가 도움이 됩니다
주위에 도움을 요청하고 배우자와 육아 역할을 분담합니다. 그리고 충분한 휴식 및 수면 시간을 갖습니다.

